⭐ 2023년 2년차 주니어 개발자 회고록 ⭐
2023년은 유지보수 및 추가 서비스 개발 중인 1개의 프로젝트와,
새로운 프로젝트 2개를 진행하며 보낸 바쁜 한 해였다.
팀 내부 변화로는 8월에 프론트 사수였던 도리님이 나가시고 내가 프로젝트 하나의 프론트를 이끌어가게 되었다.
11월 팀에 새로운 동료가 들어오시면서 첫 후임(?) 이 생겼다.
우리 팀에서 직급이 제일 높은 블루님 후임으로 들어왔지만 일은 프론트... 부사수 느낌으로 업무를 알려드리는 중이다.
그리고 프로젝트 1개도 맡게 되어 내년까지 개발하기로 했는데...메인 프로젝트 2개가 내 앞으로 오게 되어서 처음 한 개를 더 개발하라고 하셨을 때 긴장을 어마어마하게 했다...ㅎㅎ
아무튼 미들레벨로 한 걸음 더 가까워진 된 올 해를 회고해보려고 한다.
고객용, 사내용 업무처리 게시판 프로그램 개발 (2022년 ~)
✔ 사용스택
Language | Javascript TypeScript |
Framework | Next.js |
Tool | Visual Studio Code Sourcetree Fork |
Library(대표만) | SWR Jotai MUI Formik Yup |
✔ 2023 개발 내용
작년부터 개발, 배포 후 직원들 업무처리 자동화에 힘쓰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유지보수 및 추가 개발 중이다.
여전히 많은 사용량을 보이고 있으며 꾸준한 개선과 추가 개발을 통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늘려가고 있다.
- 유지보수 및 퍼포먼스 개선 (2023.01. ~ 2023.09.)
처음 1년은 배포를 위한 개발을 했다면, 이번 년도는 퍼포먼스 개선과 사용자들의 개선 요청 내용을 선별하여 반영하는 개발을 했다.
원활한 유지보수를 위해 묶여있던 컴포넌트들을, 유틸화 시키고 업무별로 컴포넌트화 시키는 리팩토링 작업을 진행했다.그리고 lighthouse 전체 80점 이상으로 개선하고, 문서 미리보기 등 버벅이는 문제가 있던 패키지 관련 내용을 싹 수정했다.
그 외에 빌드 속도 개선, 기존 작업 코드 간소화 작업 등 1년 내 작업한 내용을 대부분 손보면서2~3개월에 한 번 직원들의 불편 사항을 회의를 통해 추려 개선 및 추가 개발 작업을 해주었다.
- 업무 자동화 (2023.09. ~)
우리 회사는 건설회사가 주 기업이고 대행으로 노무관리와 세무 관련 업무들을 처리해준다.
돈 관련 업무 대행을 하다보니 사업장과의 소통은 잦고 업무들은 비슷한 경우가 많아 업무팀에서 노고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그렇다 보니 업무들 중 자동화 할 수 있는 곳을 찾아 자동화하는 것이 본부장님의 숙원사업(?) 이었고,
올해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를 해줄수 있는 기능을 개발하는 것에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팀 내부에서 UI 설계 및 프론트 개발을 맡아 진행했고, 새로운 팀원에게 Next 를 알려드리면서 함께 작업했다.
✔ 새로 배운점
- 도커, 엔진엑스, 젠킨스 사용
사수가 나가게 되면서 프론트 서버 관리를 직접 하게 됐는데,
마침 서버를 재세팅 해야할 일이 생겨서 도커, 엔진엑스, 젠킨스 세팅을 전반적으로 다 해볼 수 있게 되었다.
아직 기본적인 것 외에는 숙련도가 부족하지만 무중단 배포를 혼자서도 세팅할 수 있게 되었다.
- 레디스 스트림 연결
레디스 스트림을 프론트에 연결하여 개발해야하는 내용이 있어 Redis 공부를 조금 하게 되었다.
앞으로도 이 개발 건을 맡아 진행할 예정이어서 이해 및 숙련도를 올려 나갈 예정이다.
- github 숙련도 증가
협업이라고 해봐야 두 명 뿐이지만 github 충돌이 나거나 작업 내용 중 일부만 배포해야할 상황이 와도 이젠 당황하지 않는다.깃허브 사용에 있어 숙련도가 업그레이드 됐음을 느낀다.
- Next.js 숙련도 증가
이젠 Next.js 의 전반적인 이해와 활용이 "상"으로 가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한다.
사실 개발이 정말 다 아는지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조심스럽게 이야기하는 거지만,
어디 가서 넥스트 경력 개발자 구한다 하면 자신있게 지원할 수 있다. 중은 아니지만 상이라고 하기엔 조심스러운 딱 그 정도.
- Java / Spring 사용
이 프로젝트 백엔드 개발 양이 많아지면서 인수인계를 받고, 일부 서비스에 대한 백엔드 개발을 맡았다.
아직은 숙련도 "하" 로 개발하고 있지만 차차 보완해갈 계획이다.
✔ 총평
올해는 프로젝트를 온전히 나 혼자 이끌어 나가게 된 것 외에 큰 이슈나 어려움이 없어서 다행인 한 해였다.
2년간 js 를 주 언어로 Next 개발을 하면서 이젠 슬슬 세부적인 내용과 기본기를 되짚는 공부가 필요할 것 같다.
프론트엔드를 처음 할 때는 화면에 다이나믹하게 그려지는 순수 재미로 출근하는 것이 마냥 즐거웠는데,실무에서 2년 이상 개발을 하는 지금은 그리는 것 보다는 최적화와 UI 설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그려지기 전 화면이 그저 빈 화면이 아니었으면, 화면의 대기 시간이 길지 않았으면 하고 고민하는 것이 즐겁다.
현재 실무에서 프론트에 중점을 두어 개발하고 있어 백엔드로 전향해야하지 않냐는 우려를 받았었다.
내 목표는 풀스텍 개발자이기에 프론트엔드에 안주할 생각은 없고,프론트는 안정적으로 개발할 수 있게 되어 프론트 기본기를 다지면서 백엔드 공부를 내년부터 진행할 계획이다.
여담)
어떤 분이 프론트엔드는 솔직히 그려내는 것에 불과해서 개인적으로 조금 낮게 평가한다 라는 말을 들었는데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포지션 별로 나름의 고충과 숙련도에 따른 기술이 있다고 생각한다.
어느 한 쪽도 전문성 없이는 개발하기 힘들다고 생각하여 평가절하 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솔직히 프론트엔드가 백엔드보다 급여가 낮은 것은 알고 있어서 속상했다...)
사내 메신저 개발 (2023.10 ~)
✔ 사용스택
Language | Javascript Dart |
Framework | Node.js Flutter |
Tool | Visual Studio Code Sourcetree Fork Postman |
DataBase | MongoDB |
✔ 2023 개발 내용
사내에서 직원들이 업무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메신저를 혼자 개발하게 되었다.
전체 혹은 부서별로 조회 가능한 채팅과 다이렉트 채팅을 나누어 간단한 텍스트 및 파일 공유가 가능한
window 용 (추후 Android/Ios 개발 예정)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중이다.
✔ 새로 배운점
- Flutter
플러터는 맛보기로 Dart 언어를 배우고 작은 프로젝트 만들기만 해봤었는데,본격적인 프로젝트를 맡게 되니까 생각보다 더 매력적인 프레임워크였다. 아직은 배워가는 단계여서 모든 것을 새로 배우는 중이다.하나의 프로젝트로 여러 os 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인 것 같다!
- Node.js
스타트업 첫 입사 때 노드 개발자로 뽑혔었는데 오랜만에 Node 단독으로 개발하게 되어 감회가 새로웠다.Next 에서도 간혹 사용하곤 했었지만 오랜만이기도 하고 세세하게 사용은 못해서 Flutter 와 마찬가지로 A to Z 중이다.
또한 Socket.io 를 겸하여 사용하게 되어서 서버 관리에 대한 공부가 더 필요할 듯 하다.
- MongoDB
예전에 사용 했을 때는 비관계형 DB 에 대한 이해도가 거의 없다시피 했는데,
관계형 DB 를 접하다보니 어느 정도 이해하고 사용중이다.
쿼리 작성은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지만 회사에 비관계형 DB 를 사용해본 사람이 없어서
쿼리 코스트 개선에는 난항을 겪고 있다... 선 개발 후 열심히 공부해서 리팩할 예정이다.
✔ 총평
추가 개발중인 프로젝트가 있어 순서가 밀리기도 했고, 아직은 개발 초기 단계라 꾸준히 배워가며 개발하고 있다.
아예 처음 써보거나 숙련도가 낮은 언어들로만 구성된 프로젝트인데다가,
혼자 개발하다보니 진땀 흘리면서 개발하고 있다...!
(블로그에 배워가는 내용을 포스팅하려고 했지만 배우면서 개발하다보니 블로그 글 작성할 시간이 없다 흑흑)
내년에는 플젝을 마무리하고 리팩해가는 과정을 회고록에 작성하게 될 것 같다.
2024년에는 이렇게 보내야겠다!
작년에 이런 계획을 세웠었지만 아래 두 개 밖에 해내지 못했다. 정처기는 실기 시험 본 적이 없고 서적도 하핫..내년에는 조금 더 계획적인 주니어 개발자가 되어보고자 다이어리도 샀으니 2024년도 열심히 공부해보겠다.
✔ 알고리즘공부 (Javascript, Python)
✔ 기초 서적 읽기 (개발 서적, 기초 용어 등...)
✔ 정보처리기사 실기 합격
✔ Next 기본기 다지고 블로그 포스팅하기
✔ Flutter, Node, mongoDB 숙련도 "중-상"이 될 수 있도록 공부
내년에는 해내보자...! 아자아자!!!